티스토리 뷰

제1장 전언(前言)

 

 1990년대 비로소 미국 역사가들은 미국의 대 타이완 정책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

 마찬가지로, 이들 연구도 대부분 미국의 대 타이완 정책이 지혜롭지 못했다고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첫째, 타이완이 한국전쟁 정전과정에서 장애가 되었다. ...

 둘째, 한국전쟁은 장제스가 얼마나 독재자이든 관계없이 그를 '자유의 상징'으로 변화시켰고, 미국은 국민정부가 '반공'을 부적으로 삼아 타이완 사람들을 압박하게 도왔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들은 한국전쟁을 통해 단지 자신들이 공산당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선전하기만 하면 자신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고 배웠다. 국민을 농락하는 장제스 정권의 수법은 다른 어떤 정권보다도 뛰어났다.

---

 

제4장 중립 추구 (1950년 6월 25일 ~ 11월 15일)

 

 워싱턴 정책결정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북한의 침략은 크렘린이 대리 전쟁을 세력범위 확장에 이용하려 한다는 NSC 68의 전제를 명확히 증명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트루먼 정부는 김일성의 무장행동을 소련이 우두머리가 되는 공산집단이 미국의 안전과 이익, 명망에 직접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1938년 히틀러가 체코를 침범했을 때, 전쟁을 두려워 한 서방국가들이 적극적으로 다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행한 결과를 초래했다는 생각이 트루먼과 애치슨 등 주요 정책결정자들의 머릿속을 맴돌고 있었다. 경험과 냉전이라는 전제는 그들에게 미국이 북한의 공격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 장래에 공산당은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제멋대로 침략행위를 할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였다.

---

 

제6장 정책의 전환 (1950년 12월 ~ 1951년 5월)

 

 한편 미국은 공산세력이 확대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으나, 자신들이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모든 도발에 대응할 수는 없고 워싱턴이 진정으로 관심을 쏟아야 하는 것은 서구의 안위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트루먼 정부는 한국전쟁 초기부터 충돌이 한반도 밖으로 확산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원칙은 모든 한국전쟁의 대응조치에 기초가 되었다. ...

---

 

제9장 의도된 모호함 (1953년)

 

 국제기구에서 국민정부가 중국을 대표하게 하고 중공을 고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국민정부의 주요한 정치적 가치는 타이완과 중국 본토 이외 지역의 반공적인 중국인을 영도하는 데에 존재한다고 정책결정자들은 생각하였다. 그들은 국민정부가 해외지역 중국인들의 충절을 흡수할 수 있다고 믿었다. 1,000만 명이 넘는 중국인이 거주하는 동남아지역에서는 이 점이 특히 중요한데, 만약 이 지역의 중국인들이 중공을 지지하게 되면 동남아 국가들이 적화될 수도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워싱턴은 국민정부의 국제화를 돕고 다른 동맹국들도 동일한 타이완 정책을 취하도록 장려하기로 하였다. 결국, 아이젠하워 정부는 국민정부를 '중국의 정부'로 승인하였다. ...

 

 

 

... 한국전쟁이 일본 경제를 살렸다는 이야기는 많이 접했는데, 타이완과의 관계는 생각해보지 못했다. 한국전쟁의 경과를 따라 훑어가는 역사가 흥미로웠다.

 

... 저자가 마지막에 정리했듯이, 결국 한국전쟁이 구한 것은 국민정부 더 좁히면 장제스였다. 미국이 장제스를 그렇게 불신한 줄은 몰랐다. 이건 국민당-공산당 내전 관련 자료를 보아야 할 듯.

 

... 그리고 미국... 익히 알고 있었지만 다른 나라를 간단히 좌지우지하려는 태도가 너무 짜증났다. 자기들이 그리는 세계에 맞게 선택하고 조율해야 한다는 착각...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